반응형
“웹3.0? 그거 웹툰이야, 앱이야?”
웹3.0은 한창 뉴스에 나오지만
정확히 무슨 뜻인지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.
오늘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웹1.0 → 웹2.0 → 웹3.0,
우리는 지금 어떤 시대를 지나 어디로 가는 중일까요?
1️⃣ 웹1.0 → 읽기만 가능한 웹 (1990~2005)
✔️ 특징
- 홈페이지 중심
- 정보 제공은 ‘일방향’
- 사용자는 그냥 읽기만 하는 시대
✔️ 예시
- 네이버 초기 시절
- “뉴스·날씨·백과사전”만 보는 웹
🎯 한 줄 요약
"웹1.0은 온라인 신문"
2️⃣ 웹2.0 → 소통하고 공유하는 웹 (2005~현재)
✔️ 특징
- SNS, 블로그, 유튜브 탄생
- 사용자가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
- 구글, 페이스북, 트위터 등 플랫폼 중심
✔️ 단점
- 데이터는 ‘내 것’ 같지만 사실은 플랫폼 소유
- 광고 수익·데이터는 대부분 대기업에 집중
🎯 한 줄 요약
"웹2.0은 참여할 수 있지만, 모든 권한은 플랫폼에 있는 시대"
3️⃣ 웹3.0 → 탈중앙화 + 블록체인 기반의 웹
✔️ 특징
- 데이터 주권이 사용자에게 있음
- 중앙서버 없이 P2P 기반 운영
- 블록체인 + 스마트 계약 + NFT + DAO 등 등장
✔️ 변화 포인트
- SNS 계정도 ‘내 지갑’으로 로그인
- 유저가 직접 콘텐츠 수익을 보상받는 구조
- 게임 아이템·디지털 콘텐츠의 진짜 소유권 확보
✔️ 예시
- Lens Protocol (Web3 SNS)
- STEPN, Audius, Decentraland, 등
🎯 한 줄 요약
"웹3.0은 ‘내가 만든 건, 내가 소유하고 보상도 받는’ 인터넷"
✅ 웹3.0은 꼭 블록체인이어야 해?
👉 꼭 그렇진 않지만,
블록체인이 ‘탈중앙화’와 ‘소유권 증명’에 최적화된 기술이기 때문에
웹3.0의 핵심 기술로 쓰이고 있어.
📌 그래서 대부분의 웹3 서비스는
코인, 지갑, NFT, DAO 같은 블록체인 생태계로 연결되는 거야.
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, 아래 ‘좋아요’나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 😊
즐겨찾기 or 구독 해두시면 가장 먼저 받아보실 수 있어요 😄
반응형
'한번 보면 똑똑해지는 지식·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 계약이 뭐야? – 자동으로 실행되는 블록체인 계약의 원리Pick3! (0) | 2025.04.15 |
---|---|
NFT는 끝난 줄 알았지? – 지금 진짜 쓰이고 있는 사례 3가지! (1) | 2025.04.15 |
믿었던 플랫폼이 무너졌을 때,코인 거래소 폐쇄 사건 Pick3! (0) | 2025.04.15 |
블랙홀에 빨려 들어가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? 과학자들이 말하는 3가지! (0) | 2025.04.14 |
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은? – 과학자들이 말하는 조건 3가지! (0) | 2025.04.14 |